top of page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교육에 대하여

​글로벌선진학교 설립이사장 남진석
포스토코로나 메인.jpg

언택트(Un-tact) 시대의 온택트(On-tact)

온라인수업(스페인교사 최욱희).pn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특정 장소에 학생을 불러 진행하는 대면 중심의 학교 교육에 어려움이 생겼다. 이에 세계 모든 국가의 학교들은 온라인 수업방식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처음에는 모두가 어색하고 익숙하지 않아 불편함이 많은 듯하였지만, 점차 온라인 소통 방식이 개선되고, 등하교에 따른 시간 절약, 원거리 거주자의 주거비용 절감 등의 실용적이고 실효적인 장점들이 부각 되면서 이전의 대면 방식보다 더 나은 것이 아닌가 하는 여론의 흐름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이 그 가능성과 효용성을 인정받으면서 이를 실현해주는 인터넷망, 스마트 기기와 소프트웨어들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사회성을 기르기 위한 교육에 있어서 집단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활동들을 어떻게 대체해야 하느냐는 숙제를 안고 있지만 늘 그래왔듯 조만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계 내부에서도 각종 비대면 교육활동은 임시조치로 취하여지는 교육 방법론이 아닌 새로운 방안 또는 기준(New-Normal)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교육에 대한 대중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코로나 이후 교육의 변화는 최소한 다음 4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번째 변화는 교육생산자와 최종소비자가 온라인플랫폼 등을 통해 직접 만나게 되는 것이다.

교육의 생산자(교육자/교사)와 중간운영자(교육행정 시스템), 최종소비자(학생)의 구도가 깨어지고 중간운영자의 역할을 하던 국가교육행정기관이나 사설 교육기획사들은 설 자리를 점점 잃게 되고 배움을 원하는 사람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얼마든지 마음껏 원하는 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Online Zoom Untact

Post-Pandemic Education

온라인Familcamp.jpg

두 번째 변화는 교육과 실력인증에 관한 새로운 요구이다.

그동안 학습성취에 대한 인증은 국가기관 또는 교육기관이 주도적으로 해왔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구글이나 코세라(Coursera) 등의 온라인 플랫폼의 인증과 온라인상에서 자신의 능력과 실력을 직접 시연하고 보여 주면서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세 번째 변화는 수업의 개인화이다.

요즘은 온라인 플랫폼에 제시된 다양한 강좌들과 지식정보들을 각 개인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마음껏 자신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강좌나 정보를 취할 수 있다. 그래서 이제는 집단으로 모여서 똑같은 강의를 모두가 들을 필요가 없게 되었다.

필연적으로 온라인 비대면 학습이 만연해질수록 창의 융합적 사고방식이 요구되고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STEAM 교육은 더 크게 요구될 것이다.

bottom of page